KGMA-KGRC, 전문의가 말하는게임질병코드지정의 문제점 초청 토론회 진행
- 한국게임미디어협회, 서울대학교 의학과 이경민 교수 초청하여 ‘전문의가 말하는 게임 질병코드지정의 문제점’ 초청 토론회 진행
- 네이처에 실린 논문을 인용해게임 플레이 시 도파민이 분비되는 현상은 지극히 정상적이다라는 점과 게임을 할 때 얻을 수 있는
긍정적인 효과 등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해
- 토론회 현장에서 한국게임미디어협회가진행 중인 이달의 기자상 시상식도 진행돼
<한국게임미디어협회 초청토론회 이미지>
한국게임미디어협회(KGMA,회장 이택수)와 한국게임기자클럽(KGRC)은서울 역삼동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엔스페이스에서 ‘전문의가 말하는 게임질병코드 지정의 문제점 초청 토론회’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.
이번 초청 토론회에는 한국인지과학회장, 게임이용자보호센터장을 역임하고 기초 뇌과학 및 임상 신경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은 물론, 비디오게임을 통한 인지 발달과 뇌건강 증진 등의 주제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의학과 이경민교수가 나섰다.
이 교수는 WHO게임질병코드 지정에 대해 전문의 입장에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. 게임중독을 이야기할 때문제가 된다고 지적하는 도파민이라는 신경물질은 사실 일상생활 중에 흔히 분비되며, 게임 플레이 시 분비되는양 자체도 음식 섭취할 때와 비슷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.
또한, 오히려게임을 많이 한 사람은 머리를 많이 쓰고 관련 능력을 기른 사람들과 유사한 변화를 보였으며, 주의력이나인지조절 능력에도 도움이 되는 등 뇌 기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야기도 함께 전했다. 이번초청 토론회는 열린 토론회로 구성되어 실제 관심을 갖고 있는 여러 게임사에서 참여하기도 했다.
<5월-6월 이달의 기자상 길용찬 기자>
이 날 현장에서는 토론회에 앞서 이달의 기자상 수상식도진행됐다. 먼저 5월 이달의 기자상 수상자로 선정된 게임인사이트길용찬 기자는 ‘게임장애 질병코드, 잊지 말아야 할 3대 논리’라는 기사를 작성해서 잘 정리한 기사, 게임과몰입 질병화 현상 기사 중 내부인들이 함께 고민해야하는 부분까지 잘 정리한 기사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. 또한, ‘”게임은 문화다” 그들만의메아리가 되지 않으려면…’이라는 기사를 작성해서 게임의 인식개선 활동에 대한 깊이 있는 조언이라는 평가를받은 길 기자는 6월 이달의 기자상 수상자로도 선정됐다.
<6월 이달의 기자상 백인석 기자>
공동 수상인 6월이달의 기자상의 또 다른 주인공은 게임포커스 백인석 기자였다. 백 기자는 ‘실제 출시 57%, 인디게임 공모전 수상작의 현실…일시적 아닌 진짜 혜택 고민해야’라는 기사를 작성했으며, 인디게임 활성화를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조목조목 짚어줬고 정말로 의미 있는 고민을 담은 기사, 활발한 인디게임공모전의 또 다른 이면을 볼 수 있었던 기사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.
한국게임미디어협회 이택수 회장은 “WHO의 게임질병코드 지정에 대해 전문의 입장의 견해를 들어볼 수 있는 좋은 자리였다. 한국게임미디어협회와 한국게임기자클럽은 이 주제에 대해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다루고 올바른 대응 방안을 도출해낼수 있도록 노력하겠다”라고 말했다. <끝>